1993년 중국은 회사 설립 및 조직 , 지분 , 합병 주식 발생 및 양도, 이사 회감 사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회사법을 제정하였습니다. 그러지만 경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목소리에 2005년 전면 개정을 실시하였습니다. 

 

개정된 회사법에는 기업 내 출자회, 이사회, 감사회 등 회사 조직기구의 업무를 보다 명확히 하고 있으며 주식회사 설립 조건이 완화되고 1인 유한 회사 설립이 가능해지는 등의 내용입니다. 

 

국유자산관리위원회는 2003년에 설립되어 시노펙, 차이나 모바일, 바오스틸과 같은 중국의 ㅇ국유기업으 총괄하는 기관으로 국유기업 관리, 감독 체계는 비금융계 국유기업 관리 체계와 금융계 국유기업 관리체계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비금융계 국유기업은 주로 국자 위가, 금융계 금융기업은 주로 재정부와 지방 재정청이 관리, 감독하고 있습니다. 

 

빠링허우 1980년대 태어난 중국의 세대를 가리키느 말입니다 개방 이후 시행된 한 자녀 정책으로 외동이 대부분입니다.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개방적, 소비지향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 교육 수준이 높고 디지털 문화에 익숙합니다. 빠링허우의 세대는 2억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고 중국 인구의 약 14%를 차지하며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 결혼과 출산을 통해 중국의 중심 세대로 불리고 있습니다. 

 

주링허우 1990년대 태어난 일명 마우스 세대라고 불리우며 중국의 초고속 성장 시대에 태어난 세대입니다. 빠링허우는 배고픔과 가난을 경험해 보았으나 주링허우는 배부른 시대에 태어나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중국 인구의 약 11.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푸얼다이 부모의 막강항 재력과 지위를 물려받은 세대를 일컫고 말로 푸얼다이 세대의 절반 이상이 고가의 자동차를 2대 이상, 30% 이상이 두채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판얼다이는 푸얼다이의 반대말로 가난한 물림을 받은 세대를 말하며, 관얼다이는 중국 정부의 고위 관료직의 자녀들을 말합니다. 

 

중국 공산당은 군, 행정, 입법, 사법기관 등의 국가 기구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5년마다 열리는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에서는 당원 대표 2,200여 명이 선출되며 이 중에서 중앙위원, 후보위원, 당 중아 기율 검사위원회 위원, 중국의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이 선발되고 총리를 수장으로 하는 국문원은 한국의 행정부에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의회의 역할을 합니다.  

 

상하이 자유무역구 출범

상하이 자유무역구 출범은 2013년 9월 정식 출범하였고, 와이가 오 차오 보세구, 와이가오차오 보세물류 원구, 양산 보세항구 푸둥공항 종합보세구 등 4개 지역으로 구성되며 금융을 비롯한 서비스 분야의 과감한 개방과 제한적 위안화 자유 태환 및 금리 자유호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 중국 건설업계 건설 붐  (0) 2021.09.20
과거 중국 부동산 폭등, 투기과열  (0) 2021.09.12
중국 부동산업계  (0) 2021.09.11
중국 경제사 (경제 . 개방 정책)  (0) 2021.09.10
우마미 (Umami) / 감칠맛 이란?  (0) 2021.08.29

1978년 개최된 11기 3중 전회는 마오쩌둥의 시대의 폐막과 덩사오핑의 시대가 열리는 시초 였습니다. 3중전회는 중국공산당 제 11기 중앙위원회 제 3차 전체 회의입니다. 이는 중국 현대사의 가장 큰 이벤트로 뽑히고 있으며 중국은 11기 3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의 개혁.개방노선등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이 과거에서 벗어나 세계경제의 주역으로 간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중국은 1978년 개혁. 개방정책으로 시장 경제의 기틀은 마련했습니다. 

 

집단 노동 방식을 벗어나 농민에게 토지 경작을을 부여, 국영. 집체 기업이 주종을 이루던 경제 구조에서 민영기업 허용, 연해도시개방, 경제특구 지정 등 대외 개방을 통해 외국 자본 및 기술 도입, 기업의 진입과 툉출을 규율하는 법 제정, 국유기업 노동자에 대한 고용계약제 등을 도입하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사회주의로 중국의 토지에 대한 소유, 매매, 증여등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국가로부터 토지사용권을 무상으로 배분 받거나 임대해 사용할수 있으며 중국은 1983년 농촌 토지 도급제를 시행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을 크게 늘렸습니다. 1978년부터 6년간 농업 생산은 연평균 7.7%가 늘었고 토지 도급제 도입 이후 1984년 중국의 농업생산력을 1978년 보다 약 42% 증가 하였습니다. 

 

중국의 도시는 도시의 규모, 인구, 경제력 등급, 지명도 등을 토대로 1,2,3,4선으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도시 종합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정확한 기준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1선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텐진

2선 난징 우한 선양 시안 청두 충칭 항저우 칭다오 다롄 닝보 지난 하얼빈 창춘 샤먼 정저우 창샤 푸저우 우루무치 쿤밍 란저우 쑤저우 우시

3선 난찬 구이야 난닝 허페이 타이웬 스좌좡 후허하오터 포샨 동관 탕샨 옌타이 취엔저우 바오터우 인촨 시닝 하이코우 뤄양 난통 창저우 쉬저우 웨이팡 쯔보 바오딩 한단 친황다오 창저우 어얼둬쓰 동잉 웨이하이 지닝 란이 더저우 잔장 쟝면 마오밍 주저우 위에양 헝양 바조이 이창 씨앙판 카이펑 쉬창 핑딩샨 이어우 청더 랑팡 싱타이 다통 위린 예안 톈수이 커라마이 카스 스허즈 난야 화이안 리수이 취저우 징저우 안칭 징더젼 신위 샹탄 창더 천저우 장저우 칭위안 지에양 메이저우 자오칭 위린 베이하이 더양 이빈 준이 다리

4선 1,2,3선 이외 도시

 

1989년 발생한 텐안먼 사태는 1989년 6월 4일 텐안먼 광장 등지에서 발생한 중국인들의 민주화 요구를 덩샤오핑이 무력으로 진압한 사건입니다. 당시 중국은 개방으로 10%씩 고속성장을 할시기였습니다. 그렇지만 개방의 부작용으로 실업률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 위기가 찾아오기도 했습니다. 텐안먼 사태로 1978년 부터 개혁 흐름은 잠시 멈추었지만 1992년 덩사용핑의 남순 강화를 계기로 다시 시작 되었습니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은 맛의 기본요소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감칠맛, 일본은 우마미 , 중국어로는 선미, 영어로는 Savory taste로 불린다. 

 

감칠맛을 대한민국에서는 '입에 착 감긴다'라고 표현 하기도 한다. 

 

1985년 하와이에서 개최된 제 1회 우마미 국제 심포지엄에서 감칠맛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글루타메이트와 뉴클레오타이드의 맛을 나타내는 과학용어

글루타메이트는 글루탐산이라고도 불리며 20가지 단백질성 아미노산 가운데 하나로, 체내에서 신경 전달 물질로 기능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조미료의 성분이기도 하다.

 

뉴클레오타이드는 핵산을 구성하는 단위체의 분자로, 효소 반응의 주요 성분이다.

 

즉, 감칠맛은 혀에 있는 특수 수용체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의 카복 실레이트 음이온을 감지할때 느껴지느 미각이라고 할수 있다.

 

감칠맛은 혀에 퍼져 맛이 오래 지속되며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높인다.

 

감칠맛은 모든 음식의 전반에 걸쳐 독특한 맛이 나게 하고 음식과 어울리는 향이 있는 경우에 더욱 증대 한다. 

 

감칠맛은 1913년 일본 동경제국대학 이케다 교수에 의해 발견되었고 다시마의 국물이 단맛, 신맛, 짠맛, 쓴맛과 다르다는것을 알아내고 '감칠맛'이라고 했다고 한다. 

 

감칠맛은 글루타메이트의 맛이라고 볼수 있으며 주변을 살펴 보면 감칠맛이 함유된 다양한 음식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절인고기, 조개, 어류, 버섯, 익은 토마토, 배추, 시금치 와 발효 식품인 젓갈, 치즈, 간장, 고추장 의 음식이 이에 해당한다. 

8. 9. 첫글 시작 ^^

+ Recent posts